스페이스미션 - 우주를 둘러싼 비밀스런 임무

꿈도 소식 2017. 3. 5. 23:56 Posted by 꿈꾸는 도서관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의 홈페이지(http://www.jpl.nasa.gov)에 들어가본 적이 있으신지요? 웬만큼 우주에 관심이 있지 않는 한은 일부러 들어가볼 생각은 안 들 겁니다. 무엇보다 영어로 되어 있으니까요. 저 역시 그랬습니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과학을 쭉 좋아해온 ‘과학덕후’지만, 굳이 나사 홈페이지에 찾아가본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네요. 하지만 《스페이스 미션-우리의 과거와 미래를 찾아 떠난 무인우주탐사선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플루토, 2016년 7월 22일 출간) 작업을 하면서는 아예 열어놓고 일할 수밖에 없었죠.




이 책은 나사와 유럽우주기구가 우주로 보낸 무인우주탐사선들 중 11개 미션을 고르고 골라서 소개한 일종의 우주탐사 역사서거든요. 작업 중 궁금한 게 있으면 나사와 유럽우주기구 홈페이지에서 거의 다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나사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일단 그 광대함에 놀랍니다. 그동안 진행했던 우주탐사 미션들의 모든 것, 그 미션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매일매일 오늘의 사진과 뉴스가 뜨고요, 생각 없이 클릭질을 계속하다 보면 우주선 등의 장치를 만드는 제트추진연구소(http://www.jpl.nasa.gov)나 허블이 찍은 아름다운 사진들을 엄청나게 담고 있는 허블 유산 프로젝트(http://heritage.stsci.edu) 등 다양한 관련 사이트의 바다로 빠지고 맙니다. 그러다가 ‘헉! 내가 지금 여기서 뭐하고 있지?’정신을 차려야 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죠.


네~ 일이고 뭐고 그냥 찬찬히 둘러보고 싶었어요. 영어는 문제가 아니었죠. 우리에겐 조악하나마 ‘번역기’가 있고, 무엇보다 나사 홈페이지에는 아름다운 우주사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스페이스 미션》 11장에서는 허블 우주망원경을 소개합니다. 허블은 저 먼 우주가 아니라 지구대기권 끄트머리 지구저궤도에 위치한 망원경입니다. 그 위치 덕분에 우주비행사들이 다섯 번이나 목숨을 걸고 정비를 하기도 했죠. 이 정비 미션은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되기도 합니다. 허블은 여러 번의 정비를 거쳤다고 해도 30년이나 된 망원경이다 보니 최신 망원경에 비해 조금 성능이 떨어지기도 하는데요, 그럼에도 여러 가지 뛰어난 과학적 성과를 남기고 있고, 무엇보다 엄청나게 아름다운 우주사진으로 유명합니다. 그래서인지 우리 보통사람들에게 허블은 우주망원경의 대명사지요.



허블이 찍고 전문가의 세심한 보정을 거친 우주사진들은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뛰게 만듭니다. 도대체 저기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궁금하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겸손해지죠.


애초에 나사가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사진들을 예쁘장하게 보정해서 일반에 공개할 때, 이건 가짜 사진이라고, 오해의 여지가 있다고 반대한 과학자 분들도 계셨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지금 나사 등에 올라오는 우주사진들의 대부분은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뿐 아니라 볼 수 없는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등의 영역에서 찍은 이미지를 우리가 마치 눈으로 본 것처럼 가시광선용(?) 이미지로 보정하고 합성한 사진입니다. (이 작업은 매우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과정을 거칩니다.)우리가 직접 우주로 나간다면 별들이 가시광선을 마구 쏘아대지 않는 한 저런 화려한 장면은 볼 수 없어요. 사정이 이러니 과학자들이 비판할 만도 하지요.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죠. 앞서 말했듯이 우주사진을 보면서 감탄하는 사람들은 예쁜 사진에 감동받기도 하지만, 우주에 대한 호기심과 경외감, 겸손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우주에 대한 꿈을 키우겠죠. 꼭 우주에 대해서만일까요? 우리는 지구 위 우리 삶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외감과 겸손함을 느끼게 됩니다. 《스페이스 미션》에는 허블 유산 프로젝트의 책임자 키이스 놀의 다음과 같은 말이 소개됩니다.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나는 우리의 사진들을 벽에 붙여놓은 아이들이 우주란 과연 어떤 모습이며 그런 이국적 장소들을 여행하는 것이 어떤 기분일지 생각하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리라 기대했습니다. ... 하지만 내가 진정 원한 바는 몇 장의 사진들을 통해 아이들이 삶에 대한 경외감과 신비로움을 간직하는 것입니다. 그저 아침에 일어나 막히는 도로로 출근하고 월급을 받는 것만이 삶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길 바랍니다. 우주가 얼마나 아름답고 놀라운지 ... 아이들이 우리의 사진들을 보면서 언제까지나 그 사실을 잊지 않길 바랍니다.”


허블뿐이 아니겠죠? 전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우주탐사 미션들이 우리로 하여금 이렇게 ‘우주를 내면화’하도록 합니다.


우주탐사 미션에서 미국은 독보적이죠. 요새는 여러 가지 이유로 다국적으로 미션이 진행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미국의 힘은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저는 미국의 경제력, 기술력도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이렇게 우주가 내면화되어 있는 미국의 사회 분위기도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미국인 특유의 ‘오지라퍼’정신이 우주로까지 뻗쳤어요.


여기에 나사의 노력도 눈물겹습니다. 나사는 큰 조직이지만, 역시 의회로부터 예산을 받아와서 운영해야 하는 정부 조직이죠. 그래서 예산에 따라 여러 프로젝트들에 부침이 있었다고 합니다. 거기에 챌린저호 폭발사건처럼 인명이라도 희생되면 정말 큰일이었죠.





나사는 그래서 예전부터 대중친화적인 프로젝트를 많이 진행해왔습니다. 근래에 영화 <마션>이 나사 홍보영화 아니냐는 말을 들을 정도로 ‘NASA PPL’이 대단했죠? 나사가 화성 유인탐사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스페이스 미션》에는 재미있는 사례로 1960~7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스타 트렉> 시리즈와 나사의 긴밀한 관계를 소개합니다. 나사에서 우주선을 발사하면 <스타 트렉> 의 시청률이 오르고, 드라마 시청률이 오르면 의회의 자금지원이 늘어나고... 이런 선순환이 계속되어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런 사회에서 ‘우주로, 우주로’의 꿈은 계속 커지고요.


또 ‘나사’라는 조직 자체의 존재도 있겠죠. 《스페이스 미션》에는 여러 과학자들이 등장하는데요, 자신이 대학원생이었을 때 견학 간 나사에서 바이킹 호가 보내온 화성의 맨 얼굴을 보고 순간 매혹돼 평생을 ‘화성탐사로버’ 미션에 투신한 과학자 스티븐 스콰이어스의 이야기도 소개됩니다. 또 이런 사례도 있습니다. 나사에서 10세에서 17세 사이의 어린 학생들에게 가상 임무에 참여하거나 실제 임무를 하루 경험해보는 식의 프로그램을 진행했었는데요, 몇 년 후 이 참가자들을 추적 조사해봤더니 대부분이 과학이나 우주과학 관련한 공부를 하고 이 분야 산업으로 진출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뭐 물론 이런 사람들은 미국 안에서도 극히 소수겠지만, 이런 시스템이 있는 사회와 아닌 사회는 다르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물론 무서운 부분도 있습니다. 미국이 자꾸 ‘우주정복’을 하려고 해요. 많은 미국 기업들이 민간 우주비행, 자원 채굴을 위한 소행성과 혜성 탐사 등을 상상만이 아니라 실제로 준비하고 있거든요. 능력이 되니까, 자본이 되니까 우주로 나가네요~


우주를 정복하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이런 사회가 솔직히 많이 부럽긴 합니다. 《스페이스 미션》을 통해 여러 탐사미션의 과학적 의미, 역사, 뒷이야기들을 알게 되면서 지적 충만함을 느끼기도 했지만, 작업하는 내내 부러웠어요. 한국 사회도 ‘우주의 꿈’을 가득 안고 있으면 좋겠다는 부러움이요.


아직까지《스페이스 미션》 같은 책은 여전히 미국에서만, 나사의 도움을 얻어야만 나올 수 있는 상황입니다. 우주탐사에 있어 나사야말로 그 방대한 경험과 자료들의 보물단지니까요. 하지만 언젠가는 우리나라 스페이스 미션의 역사를 엮은 두툼한 책이 나올 날이 있겠죠? 그러길 희망합니다.